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트럼프 다음 압박 순서는 중국기업 상장 폐지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다음 압박 카드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퇴출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 기업 300개 안팎의 상장을 전격 폐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연방의회 산하 미중 경제안보위원회(USCC)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7일 기준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286개로, 시가총액은 1조1천억달러를 헤아린다. 뉴욕 증시에는 바이두, 판둬둬(테무의 모기업), 알리바바, 바이두, 징둥닷컴 등이 상장돼 있다. 스콧 베센트 연방재무부 장관도 최근 관련 질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으로 알려진 릭 스콧 연방상원의원(공화, 플로리다)도 최근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를 향해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이 과연 미국의 기업기준에 맞춰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각종 규제 법률을 준수하고 있는지 본격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연방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방의회는 지난 2020년 미국의 기업회계기준을 따르지 않는 중국 기업을 퇴출시킬 목적으로 ‘외국기업책임강화법률(HFCA)’을 제정했기 때문에, 연방당국이 결심을 할 경우 무더기 퇴출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기업 중 연방당국의 회계감사를 2년 연속 받지 않을 경우 퇴출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국가안보를 해치는 중국기업에 대한 즉각적인 증시 퇴출 권한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또한 중국기업이 계속 상장하더라도 미국인의 중국기업 지분 보유를 금지하는 법률을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상장폐지 조치가 특히 증시 투매 현상을 불러오고 미국경제에 광범위한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중국 트럼프 상장폐지 조치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다음

2025-04-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